본문 바로가기

유비스병원 여성질환

자궁근종 임신

자궁근종 임신



자궁근종은 35세 이상 여성들이 제일 많이 겪고 있는 종양으로 30대 중반부터 40대에 많이 발생하는! 여성에게 가장 흔한양 중 하나입니다. 생리통이 심해지며, 생리량이 많고 이 생리혈에 덩어리가 섞였을 경우. 혹은 생리기간이 아님에도 부정출혈이 발생했을 경우 자궁근종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또, 아랫배를 만졌을 때 혹 같은 것이 만져지거나, 허리나 골반통이 발생할 경우, 소화계통에 문제가 생기고, 소변을 볼 때 통증이 발생하고 잔뇨감이 느껴질 때 자궁근종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자궁근종은 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그 크기가 좌우됩니다. 따라서 폐경에 접어들면 줄어들게 되는데, 임신 중에는 20~30%의 확률로 커지게 돼 자연분만을 어렵게 만들기도 합니다. 자궁근종이 직접적으로 불임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자궁근종이 임신의 공간인 자궁에서 발생하고, 월경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만큼 난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실제로 자궁근종을 장기간 방치할 경우 자궁의 기운이 쇠해지고 착상에 악영향을 줄 수 있게 됩니다. 임신을 계획하는 환자들 중 근종 크기가 너무 커질 경우 불임이 될 수도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올바른 임신 즉, 수정란의 안전한 착상을 위해서는​ 여성은 무엇보다도 '건강한 자궁 내막'을 가지고 있는 것이 중요하며 임신을 더 이상 계획하고 있지 않다면 자궁 내막의 손상은​ ​삶의 질에 많은 영향을 끼치지 않아서 자궁 '근종의 제거'를 우선적으로 치료합니다. 하지만 향후 임신 계획이 있으신 분들은 꼭 하이푸처럼 근종을 치료하면서도​ 최대한 자궁내막의 손상 없이 근종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겠죠?





자궁근종이 있다고 해서 임신이 어려운 것은 아니지만 자궁근종이 있다는 것은 하체 또는 전신의 혈액순환이 지체되어 있다는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이를 개선하고 임신을 시도하는 것이 임신유지능력도 높아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하이푸 치료를 받은 부위에 임파구의 수가 증가하고 면역력을 높여준다는 실험결과가 있습니다. HSP(Heat Shock Proteins)에 의해 면역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물론, 하이푸 시술 직후 바로 임신을 시도하는 것이 옳진 않지만, 3개월 이후에 임신을 권하고 있습니다. 





자궁근종의 비수술 치료방법인 하이푸는 자궁근종, 자궁선근증, 간암에 대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청,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엄격한 심의를 통과하고, 보건복지부의 신의료기술로 등재된 안전성과 유효성이 입증된 최신 의료기술입니다.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3-20호]



자궁근종이나 선근증을 앓고 계신 가임기 여성이 하이푸 시술 후 임신된 사례도 보고 되고 있습니다. 자궁을 보존하고 싶고 후유증이 적은 치료를 추구해 온 것은 의사들의 일이기도 하지만 여성들 모두가 가지고 있는 소망이기도 하지요. 








'유비스병원 여성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성종양 차이점  (0) 2016.10.24
여성질환의 종류  (0) 2016.10.21
생리기간 외 하혈  (0) 2016.10.13
자궁근종 치료 시기  (0) 2016.10.11
하이푸 시술 병원  (0) 2016.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