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비스병원 여성질환

자궁근종 알고 치료하자!

자궁근종 알고 치료하자!


자궁근종은 자궁을 대부분 이루고 있는 평활근에 생기는 양성종양을 말합니다.

자궁근종이 전혀 없는 여성은 오히려 드물다고 할 정도로 여성에게 매우 흔한 질병입니다.

자궁근종은 30~40세에 자주 발병하고 종양이 지속되면 폐경기 이후에도 발견되기도 합니다.





자궁근종은 발생부위에 따라서 자궁 외층으로부터 장막하 근종/근층 내 근종/점막하 근종으로 구분됩니다.



근층 내 근종

자궁근층 내 깊숙이 위치하는 근종으로 자궁의 크기 자체가 커짐으로써 자궁내막의 적이 증가하고,

따라서 월경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대부분 자각증상이 없습니다.


장막 하 근종

자궁을 덥고 있는 복막 바로 아래서 발생하는 근종을 말합니다. 근종이 늘어져서 줄기를 형성하기도 합니다. 이또한 근층 내 근종처럼 자각증상이 없습니다.


점막 하 근종

자궁내막 하층에 발생한 근종으로서 가장 예후가 나쁩니다. 합병증이 가장 많고, 작은 크기로도 출혈의 원인이 되기 쉽습니다. 또한 육종변성의 위험이 크고 감염, 화농, 괴사가 되기 쉽습니다.

점막 하 근종은 방사선 치료에 내성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근종이 생기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몇가지 가설이 있는데요.


대표적인 가설 3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1. 호르몬 설

자속적으로 상승된 에스트로겐이 자궁근종의 성장에 관여한다는 이론으로서, 그 근거는 근종의 성장이 여성호르몬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입니다.

자궁근종은 난소의 기능이 왕성할 때 잘 자라고 초경이전이나 폐경기 이후에는 발생이 드물며, 특히 폐경기 이후엔 근종의 크기가 감소합니다. 또한 난포 호르몬이 포함된 경구 피임약을 복용한 여성에서 근종이 갑자기 커지는 것 등이 그 증거가 됩니다.

그러나 생식연령층의 모든 여성이 에스트로겐을 분비하는데 일부 여성에게서만 근종이 발생하는 점 등에 의해 에스트로겐이 근종발생의 단일인자로는 보이지 않습니다.


2. 유전설 

유전인자와 관련된다는 이론으로서, 자궁근종이 흑인 등의 유색인종에서 많이 발생한다는 것은 이러한 이론을 뒷받침합니다.


3. cell nest 설

자궁 근육층에서 미성숙한 근세포가 생기며, 이것이 지속적으로 에스트로겐의 자극을 받아 근종으로 발육한다는 가설입니다.






자궁근종의 혁신적인 치료법은 없나요?

개복과 절개가 없는 하이푸가 있습니다!


하이푸 치료는 몸 속 깊숙한 곳에 위치한 종양을 환자의 몸 밖에서 초강력 초음파를 정확히 종양 부위에 집중시켜 주변 장기 및 조직의 손상 없이 목표한 종양만을 태워 괴사시키는 무출혈, 무통증의 비수술 종양치료법입니다.





하이푸 장점은 무엇인가요?


방사선 오염이 없는 초음파를 치료 원으로 하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부작용이 없습니다.


시술시 절개하지 않으므로 출혈 및 흉터가 없습니다!


주변 정상 조직의 손상이 없습니다.


마취가 필요 없고 회복시간이 짧습니다.


실시간으로 치료 부위를 관찰할 수 있고, 치료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종양의 크기, 개수, 위치, 환자의 상태에 따라 몇 번에 나누어 시술이 가능하며, 

단 1회만으로도 치료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