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선근증 수술
여성 양성 종양인 자궁선근증!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자궁내막 조직에 의해 자궁의 크기가 커지는 증상을 말합니다. 마치 임신 시 자궁이 커지는 것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는데요. 자궁의 크기는 임신 12주 정도의 크기까지 커질 수 있다고 해요. 조직검사에 의해 발견되기도 하지만 자궁근종처럼 혹을 만들 수도 있다고합니다. 출산하지 않았던 사람보다 출산 경험이 있는 산모가 발병률이 높습니다.
가임여성의 13.4%에서 발견될 수 있습니다. 물론 양성 종양이기때문에 생명에 위협이 되진 않지만 일상생활을 굉장히 불편하게 할만한 증상들이 나타나곤 한답니다. 가령, 만성골반통증, 생리통, 생리과다, 부정기출혈, 변비, 빈뇨증과 같은 생리를 하면서 통상 느끼는 불편함도 있지만 자궁선근증이 심할경우 불임, 자연유산등을 일으킬 수도 있다고 해요.
자궁선근증의 발생원인은 내막세포의 근육층 내로의 파급때문에 생기는건데요. 현재까지는 정확하게 밝혀진 바 없지만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근층으로 스며들어 생기는 가설과 자궁근층이 조직이 변화하여 자궁내막조직과 유사해진다는 가설이 있답니다.
기존의 전통적인 치료는 약물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있는데 약물치료는 수술을 지연시키고자 시행되는 일시적인 호르몬 치료이며 수술적 치료는 전신마취를 통한 근종절제 수술이나 자궁적출 수술 등의 침습적인 치료입니다. 자궁은 여성 고유의 중요한 기관으로 심리적, 신체적으로 중요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여성이 자궁을 보존하길 원합니다.
하이푸 나이프 자궁근종 치료는 일시적인 호르몬 치료보다 근본적인 치료이며 전신마취와 침습적인 수술을 피하면서 자궁을 보존하고 임신과 출산에 안전하며 자궁근종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새로운 치료법입니다.
하이푸 시술은 기존 치료법과 다르게 4가지가 없답니다. 무 마취, 무 절개, 무 통증, 무 출혈! 시술 시간은 크기와 갯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자궁근종이라면 1시간 이내에 시술이 가능하며 편안하게 엎드린 자세로 시술을 하게 됩니다. 초강도 초음파를 자궁근종, 자궁선근증에 집속시켜 종양 부위만 태워 괴사시킬 수 있습니다. 옛날에 돋보기로 종이를 태우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기계적으로 만들어진 초음파가 주기적 압력의 증감(압축∙팽창)을 발생하면서 조직을 통하여 진행하게 되면 팽창하는 동안 용액으로부터 기체가 기포를 형성하면서 흘러 나옵니다. 이들은 조직의 압력 변화와 함께 안정된 방식으로 진동할 수 있지만 미시적 차원에서 보면 궁극적으로 국부적인 에너지 방출과 함께 온도가 증가하면서 결국 조직이 붕괴됩니다. (초음파>진동>기포∙열>괴사)
인체를 절개하지 않고 체외의 트랜스듀서에서 발생된 고강도초음파(HIFU)를 피부를 통하여 체내 조직의 한 점에 집속시키면 1-2초 안에 조직의 온도가 65-100˚C로 상승하면서 조직에서 응고적 괴사가 일어나면서 종양조직이 사멸됩니다. (완전 비침습적 치료)
렌즈방식 트랜스듀서는 마치 돋보기로 햇빛을 모으는 원리와 유사합니다. 렌즈방식은 단위면적당 에너지효율이 높은 고강도초음파를 보다 작은 초점에 모을 수 있기 때문에 짧은 치료시간과 섬세한 부위의 하이푸 절제가 가능합니다. 초음파영상을 보면서 점(또는 선)을 기초로 하여 초점을 이동시키며 점→선→면→입체로 이어지는 치료원리입니다. 하이푸기계의 성능은 고강도초음파를 발생시키는 트랜스듀서(타입∙초점∙강도) 및 종양을 겨냥하는 포지션(차원∙범위∙정확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환자를 테이블 위에 엎드리게 한 후 물로 채워진 고무 버킷 속의 트랜스듀서에서 고강도초음파를 발생시켜 환자의 하복부를 거쳐 자궁의 목표 종양에서 초음파초점을 형성시킵니다. 이 때 물은 기포가 없는 고순도이어야 할 뿐만 아니라 10-15˚C를 유지하면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양을 유지해야 하는데 이는 모두 컴퓨터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됩니다.
현대유비스병원은 하이푸나이프 치료를 통해 자궁선근증 치료를 획기적이고 안정적으로 하여 많은 여성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치료 후 임신과 출산까지도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자궁선근증으로 고통받으셨던 여성분들 이제 걱정하지 마시고, 언제든지 문의주시길 바랍니다!
'유비스병원 여성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 자궁근종 치료 (0) | 2017.03.13 |
---|---|
생리통(dysmenorrhea) (0) | 2017.03.08 |
자궁선근증증상 (0) | 2017.03.06 |
생리통과 자궁근종 (0) | 2017.02.28 |
자궁근종증상 (0) | 2017.02.23 |